Ubuntu NAS 5

자작 NAS - Torrent Transmission 설치

NAS PC에 토렌트만 등록해두면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Torrent 프로그램을 설치해보려 한다. Ubuntu Server 18.04에 Transmission을 설치해보자. 설치와 설정, 사용은 매우 간단하다. https://wiki.ubuntu-kr.org/index.php/Transmission-daemon Transmission-daemon - 깊이있는 삽질 Ubuntu Korea Community Wiki https://www.transmissionbt.com/ 트랜스미션은 리눅스계의 비트토렌트이다. 트랜스미션은 우분투의 버젼에 따라서 기본으로 설치가 되어있을수도 있다. 그중에 하나인 Transmission-daemon은 사실은 클라이언트지만, WEB-Interface를 지원하여 웹브..

NAS 2020.04.19

자작 NAS (6) - 내부 파일 공유 환경 구축 2(Ubuntu - Windows SMB)

우분투 - 맥 파일공유 환경 AFP는 설정이 끝났고, 이제 윈도우 파일공유 환경을 위한 삼바 SMB를 설치해 보자. 더보기 참고로 SMB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말하고, 삼바 SAMBA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한 소프트웨어라고 보면 된다. 우분투 버전은 Ubuntu server 18.04 LTS이고, Linuxize의 튜토리얼을 참고했다. https://linuxize.com/post/how-to-install-and-configure-samba-on-ubuntu-18-04/ How to Install and Configure Samba on Ubuntu 18.04 This tutorial explains how to install Samba on Ubuntu 18.04 and configure it as..

NAS 2020.01.26

자작 NAS (4) - 내부 파일 공유 환경 구축 1(Ubuntu - Mac AFP)

NAS를 구축하려는 가장 큰 목적은 파일 서버로, 저장소 공유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우선 NAS 저장공간을 로컬폴더처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만들어보자. 집에서 맥북과 윈도우 데스크탑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OSX와 Windows 셋팅이 모두 필요하다.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파일 공유 관련 프로토콜 3가지를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1. FTP (File Transfer Protocol) FTP는 쉽게 말해 파일을 복사하는데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복사 받는 쪽에 충분한 저장공간이 있어야하며, 결과적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각각 독립적인 2개의 파일을 갖게 된다. 2. SMB (Server Message Block) SMB는 서버에서 파일의 읽고..

NAS 2020.01.23

자작 NAS (3) - 우분투 WOL 기능

2020/01/15 - [NAS] - 자작 NAS (2) - 외부에서 접속하기 자작 NAS (2) - 외부에서 접속하기 우분투 설치는 별거 없으니 넘어가도록 하자. (참고 : https://dog-developers.tistory.com/38) 설치시 설정한 서버 계정만 기억해두자. NAS는 기본적으로 언제 어디서든 접속 가능해야 편리함이 극대화된다. 그렇.. everycommit.tistory.com 지난 번 포스팅에서 NAS PC에 SSH를 통한 원격접속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모든 Ubuntu 조작은 터미널을 통한 원격으로 진행한다. 이제 원하는 때에만 NAS PC를 켜서 접속할 수 있게끔 WOL 기능을 설정해보자. WOL (Wake On Lan) WOL은 Wake On Lan의 줄임말로, PC의 랜..

NAS 2020.01.15

NAS 자작 (1)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고르기

NAS란 것을 알게 되었다. 크게 쓸 일은 아무래도 없을 것 같지만 상당히 재밌어 보여서 구축해 보기로 했다. 1. NAS 하드웨어 고르기 시놀로지가 좋다고 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사실 tv headend니, 스트리밍이니.. 넷플릭스와 유튜브만 봐서 쓸 일이 없을 것 같다. 파일 공유만 생각하고 입문용으로 찾아보니 중고로 20만원 정도 예상. 그러다 마침 남는 데스크탑이 생각났다. 라즈베리파이나 안쓰는 pc로 자작을 하는 사람들이 꽤 있어 보인다. 2. NAS 소프트웨어 고르기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NAS를 가장 쉽게 구축하는 건 VMWare 등의 가상머신에 헤놀로지를 설치하는 걸로 보인다. 하지만 7년 정도 된 데스크탑에 가상머신을 올리는 건 불가능해 보인다. 윈도우 7도 간신히 돌아가..

NAS 2020.01.14
1